STEP1. DESIGNING
서건이 갖고자 하는 디자인은 실내공간을
아름답고 능률적이며 쾌적한 환경으로 창조해냄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외, 내부 공간을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과 요구 기능을 충족시키면서
개성도 있고 아름다우며 합리적인 마무리가 서건에서 추구하는 디자인이다.
오늘날 인테리어라 함은 실내장식 혹은 실내 장치라는 말로 혼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디자인이라는 접미어가 뜻하는 바는 조금 다르게 인식되어 있다.
디자인, 그것은 생활공간의 쾌적성을 추구하며 여러 기능 해결과
감성적 충족을 다같이 해결해야 한다.
넒은 의미에서 환경에 대한 이해와 건축적인 요소가 갖추어져야 한다.
따라서 서건의 보여주고자 함은 단순한 인테리어가 아닌 디자인을 보여주고자 한다.
STEP2. PLANNING
거래가 성사되고 서건에서 준비하는 첫 번째는
고객의 의도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건물 운영방법들을
설정하며 여러 가지 제반 사항에 대해 문제를 검토 및 분석하게 된다.
어떠한 회사가 그러하듯 사전조사를 통해 고객이 원하는 결과물에 대해서
가상 시뮬레이션을 하는데 서건만의 특별함은 아무래도 오랫동안 한 분야에서
전문성 있는 인테리어 디자인을 했다는 부분과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순간순간
크고 작은 문제들을 조목조목 잘 해결 해왔다는 부분이다.
해서 서건의 계획은
시작부터 끝까지 단계별로 기획되며 고객이 만족할 수 있게 물리적 형태로 표현한다.
STEP3. CONSTRUCTION
인테리어공사에 있어, 각 공정은 13~22개 정도로 구분되어지며
그 자체가 연계되는 공사보다는 마감공사가 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서건은 총사령관으로써 다양한 협력업체와 고용주로써 커맨더 역할을 하게되는데 본사와 현장팀으로 이루어져 공사기간동안은 24시간 내내 현장을 관리및 감독하게 된다.
공사기간 중에는 간혹 크고 작은 사건들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에 관련되어 서건에서는 기본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몇백 가지 매뉴얼들을 자사에서 교육 및 대처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되어 있다.
이는 고객이 마무리 단계까지 편안하게 해줄 수 있는 서건만의 노련함이다
STEP4. QUALITY CONTROL
퀄리티의 차이는 디테일의 완성도라 말할 수 있다.
이런 디테일은 전문분야에 얼마나 경력을 갖고 있느냐도 있겠지만 서건이 장기간 인테리어 기업에 선두주자로 있는 부분은 열정이다.
끊임없는 신기술 개발과 투자를 통해 인테리어계 얼리어답터들이 자사 내에 배치되어 있다. 새로움에 적극적이며 해당 부분을 실질적인 설계 및 시공에 적용하고자 하며 완성도를 높이고자 하는 꼼꼼함은 서건에서 결과물들로 보여주고 있다.
금융권 인테리어, 은행 인테리어, 오피스 인테리어, 의료/상업 인테리어,
문화센터 디자인의 선두주자